승강기 유지관리

승강기 유지관리란?

승강기가 주어진 수명 동안 안전하고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일상관리, 정기점검, 예방정비, 수리 등의 모든 행위를 말한다. 승강기의 유지관리는 기본적으로 소유자 또는 승강기 관리주체의 책임이다.

그러나, 유지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유지관리에 필요한 여러 가지 행위를 전문기술자 또는 그 행위에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자격자에게 위임하여 관리하게 된다. 승강기 설치의 완벽함도 중요하지만 설치 이후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사용수명의 연장과 탑승객의 편안함과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유지관리의 필요성

승강기는 기계, 전기, 전자기술이 접목된 기계장치이며 사람을 운송하는 역할을 하므로 유지관리의 필요성을 세가지 측면에서 요약하였다.

승강기의 성능유지

승강기는 자동화된 수직 교통수단으로 안전장치가 많이 설치되어 있지만 사고 시 위험도가 높고 고장 시 승객들의 불편이 아주 크기 때문에 관리주체의 의무사항으로 항상 안전하게 운영 및 편리를 제공하도록 법제화(승강기시설 안전관리법)가 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건축물 특성에 맞는 설계와 각종 검수, 시공관리, 성능 및 품질안전을 위한 감리(법에서 규정)를 하고 건물 준공 전 완성검사를 통해서 의무화된 안전장치와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지 확인하게 한다.

승강기 이용자 안전보호

한 달에 1회 이상 유지관리 기술자가 안전장치의 기능이 이상 없는지 점검해 이상이 있을 때 바로잡아 주는 자체점검을 하도록 의무화(법에서 규정)하고, 매년 검사기관에서는 자체점검 여부와 실제 승강기의 중요 안전장치를 시험해 이용자의 안전을 확보(법에서 규정)하도록 되어 있어 관리주체는 매월 자체점검과 년1회 정기검사의 필요성을 잘 인지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소유재산의 보존

고가의 승강기를 장시간 사용하기 위해서는 매월 실시하는 자체점검의 질이 가장 중요하다. 특히 성실한 유지관리 기술자가 안전장치를 철저히 점검해 안전기능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시키고, 노후화 되는 부품을 적기에 찾아내 즉시 수리하는 것은 승강기의 성능뿐만 아니라 수명연장에도 큰 기여를 하게 되다.